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에, 쉘 스크립트로 특정 파일을 수정 시각을 감시하다가 일정 시간 동안 파일에 추가되는 데이터가 없을 경우,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일종의 와치독과 유사한 스크립트를 작성할 일이 있었습니다. 그러던 중에 시스템에 결함이 발생하였는데, 원인 분석중 와치독 스크립트가 예외상황으로 재부팅을 한 것인지, 프로젝트 서버가 문제를 일으켜 재부팅된 것인지 구별을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var/log/messages"의 내용을 확인했을 때, 시스템이 서버의 장애로 재부팅된 것과 와치독 스크립트가 "reboot" 명령으로 재부팅한 것을 구별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와치독 스크립트에서 재부팅하였을 때, "/var/log/messages"에 그 내용을 기록하면 바로 구별이 가능하겠다고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