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 OS 12(Bookworm)에서는 NetworkManager가 기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 채택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던 dhcpcd 대신 NetworkManager를 통해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서는 nmcli 명령어를 사용하여 Wi-Fi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nmcli란?
NetworkManager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로, 터미널 환경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GUI 환경 없이도 네트워크 설정을 쉽게 할 수 있어 headless 서버나 원격 관리 시에 유용합니다.
Wi-Fi 장치 상태 확인하기
먼저 시스템에서 인식된 Wi-Fi 장치를 확인해보겠습니다.
nmcli device
이 명령은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보여줍니다. Wi-Fi 장치는 보통 wlan0
으로 표시됩니다.
Wi-Fi 장치 활성화하기
Wi-Fi 장치가 비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 명령으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sudo nmcli radio wifi on
사용 가능한 Wi-Fi 네트워크 검색하기
주변의 Wi-Fi 네트워크를 스캔하기
nmcli device wifi list
이 명령어는 SSID, SIGNAL 강도, SECURITY 유형 등 주변의 무선 네트워크 목록을 보여줍니다.
특정 Wi-Fi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비밀번호가 필요한 네트워크 연결
sudo nmcli device wifi connect "SSID명" password "비밀번호"
예를 들어, "MyHomeWiFi"라는 공유기에 "mypassword123"이라는 비밀번호로 연결하기
sudo nmcli device wifi connect "MyHomeWiFi" password "mypassword123"
숨겨진 SSID에 연결
공유기의 SSID가 숨겨져 있는 경우
sudo nmcli device wifi connect "숨겨진SSID명" password "비밀번호" hidden yes
특정 Wi-Fi 인터페이스 지정하기
여러 Wi-Fi 인터페이스가 있는 경우, 특정 인터페이스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sudo nmcli device wifi connect "SSID명" password "비밀번호" ifname wlan0
연결 상태 확인하기
현재 활성화된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nmcli connection show --active
또는 특정 장치의 상태 보기
nmcli device status
저장된 연결 관리하기
저장된 모든 연결 보기
nmcli connection show
특정 연결 삭제하기
sudo nmcli connection delete "SSID명"
연결 프로필 수정하기
예를 들어, 저장된 연결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기
sudo nmcli connection modify "SSID명" wifi-sec.psk "새_비밀번호"
자동 연결 설정
특정 네트워크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설정하기
sudo nmcli connection modify "SSID명" connection.autoconnect yes
문제 해결 팁
- 장치가 비활성화된 경우: 하드웨어 스위치나 소프트웨어 차단이 활성화되었을 수 있습니다.
rfkill list
명령으로 확인 후rfkill unblock wifi
로 해제할 수 있습니다. - 드라이버 문제:
lspci -k | grep -A 3 Network
또는lsusb
로 Wi-Fi 하드웨어가 인식되는지 확인하세요. - 연결 실패: 보안 유형이나 비밀번호를 다시 확인하세요. 필요시
sudo nmcli device wifi rescan
으로 네트워크를 재스캔합니다.
결론
Raspberry Pi OS 12 (Bookworm)에서 nmcli는 강력하고 유연한 네트워크 관리 도구입니다. 터미널만으로도 Wi-Fi 연결을 완벽하게 관리할 수 있어, GUI 없이 운영되는 Raspberry Pi 프로젝트에 특히 유용합니다. 이 명령어들을 활용하면 원격으로도 손쉽게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NetworkManager와 nmcli는 이전의 dhcpcd보다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며, 복잡한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연결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Linux,Unix,BSD > RaspberryPI' 카테고리의 다른 글
[RPi 4] NodeJS 20.x에서 발생하는 GLIBCXX_3.4.26 오류 문제 (0) | 2024.03.25 |
---|---|
[RPi] 카메라(Camera)의 지원 해상도 알아보기 (0) | 2022.11.20 |
[RPi] OpenVINO 빌드 중 발생한 오류 - Python module 'cython>=0.29.22' is missed (0) | 2022.11.16 |
[RPi] 와치독(watchdog) 설정하기 (0) | 2022.08.03 |
[RPi] DNS 찾지 못하는 문제 (0) | 2022.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