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출문제도 몇 개가 있었지만, 아예 새롭게 보이는 문제도 있었습니다.
시간이 지난 후에 문제들을 복기 했봤으나, 기억이 안나는 것들도 다수 있네요.
이런 분야에서 출제가 되었다고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 DMA, CPU간 같은 캐쉬 메모리를 참조하려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0명령으로 수식 계산시 빈칸 채우기
- 제어를 특정 메모리에 함수 등으로 하기 / 로직으로 하는 것 중, 함수로 하는 방법은?
- 함수
- 테스트 ;
- 16바이트 64블록 직접 사상 캐시가 있을 때, 1231은 몇 번째 블록에 위치하는가?
- 64K bit / 4 bit 주소선의 개수는?
- 오류 검출 기법 중 수직 패리티, 수평 패리티를 적용한 방법은?
- 반가산기 회로 그리기
- D FF 이용, JK FF 그리기
- 70% 2배 성능, 전체 성능은?
- 부동소수점. 최소값보다 작은
- 캐시?
- 토폴로지
- 인덱스 레지스터
- 카르노맵을 이용한 간소화
- FCFS 이동거리 계산
- IEEE 754 부동소수점에서 마지막 2비트의 역할은?
결과적으로는 다음에 시험을 한 번 더 봐야할 것 같습니다. ㅠ.ㅠ
회로 그리는 부분 등 아예 답안을 채우지 못한 부분이 너무 많았네요. 평소에 공부를 좀 해뒀어야 하는데...
항상 시험을 보고난 후에야 후회를 하네요.
기출 문제들에 대하여 틈틈히 요약 노트로 정리를 해두어야 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임베디드 기사 실기 필답형 후기 (1) | 2023.11.05 |
---|---|
2023년 3회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필답 문제 분야 정리 (0) | 2023.10.07 |
2022년 임베디드기사 실기 필답시험 후기 (0) | 2022.11.19 |
2022년 4회 임베디드기사 필기시험 (CBT) 후기 (0) | 2022.09.16 |
전자계산기기사 2014년 제1회 A형 필답문제 (2) | 2014.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