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nix,BSD 166

[redmine] 마크다운 - 숫자항목 아래 일반항목 들여쓰기

레드마인에서 마크다운으로 숫자 항목과 일반 항목을 섞어 쓸 때, 숫자 항목 아래 일반 항목을 한단계 더 들여쓰기 하는 방법을 알아 보겠습니다.숫자항목 아래 일반항목 들여쓰기 문제아래와 같이 들여쓰기 하면, 일반 항목이 한 단계 더 들여쓰기된 것이 아니라 동일한 들여쓰기가 됩니다.1. 지적 인식 * 건강이란 것이 결과-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예시 * 건강한 몸을 위하여 뼈를 깍는 고통이 없이는 불가능. 우리는 그 과정을 무시하고 결과만 보는 경향이 있음2. 기대치 수정 및 난이도 조정 * 비범한 결과는 비범한 노력을 요한다. 유령 쫓기를 포기하고 지름길 모색을 그만두라는 것임 * 진짜 어려운 일은 지름길이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함 * 지름길 환상을 떨쳐내고 과정 중시 원칙을 존중하며, 해야 할..

[레드마인] 마크다운 - 숫자에 대한 이스케이프

Redmine에서 마크다운으로 "1. 내용"과 같이 숫자로 시작하는 텍스트를 작성할 때 자동 번호 목록으로 변환되지 않도록 이스케이프(escape)하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백슬래시 이스케이프 사용숫자와 점 사이에 백슬래시(\)를 넣으면 일반 텍스트로 표시됩니다.1\. 내용코드 블록 사용백틱(`)으로 감싸면 인라인 코드로 처리되어 마크다운 문법이 적용되지 않습니다.`1. 내용`들여쓰기 코드 블록 사용4개의 공백으로 들여쓰기하면 코드 블록으로 처리됩니다. 1. 내용HTML 엔티티 사용점(.)을 HTML 엔티티(.)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1. 내용가장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은 백슬래시 이스케이프(1\. 내용)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이 가독성도 좋고 편리..

[레드마인] 마크다운 - 표 작성 방법

기본 표 구조| 헤더1 | 헤더2 | 헤더3 ||-------|-------|-------|| 내용1 | 내용2 | 내용3 |왼쪽 정렬 (기본값)| 이름 | 나이 | 직업 ||------|------|------|| 김철수 | 30 | 개발자 || 이영희 | 25 | 디자이너 |결과| 이름 | 나이 | 직업 ||------|------|------|| 김철수 | 30 | 개발자 || 이영희 | 25 | 디자이너 |오른쪽 정렬콜론(:)을 오른쪽에 붙입니다.| 제품명 | 가격 | 재고 ||--------|-----:|-----:|| 노트북 | 1,500,000 | 15 || 마우스 | 25,000 | 100 |결과| 제품명 | 가격 | 재고 ||--------|-----:|-----:|| 노트북 | 1,50..

[레드마인] 마크다운 - 목록 중간에 빈 줄 넣기

레드마인(Redmine)의 마크다운으로 목록 중간에 빈 줄을 넣고 다시 목록을 계속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방법 1: HTML 주석 사용1. 첫 번째 항목2. 두 번째 항목3. 세 번째 항목 (번호가 계속됨)4. 네 번째 항목방법 2: 들여쓰기된 빈 줄 사용1. 첫 번째 항목2. 두 번째 항목3. 세 번째 항목4. 네 번째 항목방법 3: 번호를 직접 지정1. 첫 번째 항목2. 두 번째 항목3. 세 번째 항목 (번호를 직접 지정)4. 네 번째 항목방법 4: 불릿 포인트의 경우* 첫 번째 항목* 두 번째 항목* 세 번째 항목 (새로운 목록으로 시작)* 네 번째 항목가장 안정적인 방법은 HTML 주석()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 방법은 대부분의 마크다운 파서에서 잘 작동하며, 목록 번호..

[RPi] OS 12 (Bookworm)에서 nmcli로 Wi-Fi 연결하기

Raspberry Pi OS 12(Bookworm)에서는 NetworkManager가 기본 네트워크 관리 도구로 채택되었습니다.이전 버전에서 사용하던 dhcpcd 대신 NetworkManager를 통해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으며, 터미널에서는 nmcli 명령어를 사용하여 Wi-Fi 연결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nmcli란?NetworkManager Command Line Interface의 약자로, 터미널 환경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할 수 있는 명령줄 도구입니다. GUI 환경 없이도 네트워크 설정을 쉽게 할 수 있어 headless 서버나 원격 관리 시에 유용합니다.Wi-Fi 장치 상태 확인하기먼저 시스템에서 인식된 Wi-Fi 장치를 확인해보겠습니다.nmcli device이 명령은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

[linux] DHCP 리스(leases) 정보 확인하기

개요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장치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입니다.Linux 시스템에서는 DHCP 클라이언트가 받은 정보가 리스 파일에 저장됩니다. 이 글에서는 /var/lib/dhcp/dhclient.eth0.leases 파일을 통해 DHCP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DHCP leases 파일이란?DHCP 리스(leases) 파일은 DHCP 서버로부터 받은 네트워크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이 파일에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 상세한 네트워크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dhclient.eth0.leases 파일 위치일반적으로 DHCP 리스 파일은 다음 위치에 저장됩니다:/var/li..

Linux,Unix,BSD 2024.07.16

[linux] crontab의 시간 지정자들 (reboot, daily, ...)

개요크론탭(Crontab)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작업을 자동화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오늘은 크론탭의 특별한 시간 지정자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시간 지정자@reboot시스템 부팅 시 단 한 번 실행합니다.사용 예시@reboot /path/to/startup/script.sh활용 사례시스템 부팅 후 즉시 실행해야 하는 초기화 스크립트네트워크 서비스 자동 시작모니터링 도구 자동 실행@yearly (또는 @annually)매년 1월 1일 00:00에 실행합니다.동일한 cron 표현식 : 0 0 1 1 *사용 예시@yearly /path/to/yearly/backup.sh활용 사례연간 시스템 전체 백업연간 로그 아카이빙연간 데이터베이스 정리 작업@monthly매월 1일 00:00에 실행합니다.c..

Linux,Unix,BSD 2024.07.12

[bash] rc.local과 유사한 서비스 만들기

개요기존 ubuntu에서는 한 번만 실행될 명령은 "/etc/rc.local" 파일에 적어 두면 되었습니다.그러나 ubuntu 버전이 올라가면서 "/etc/rc.local" 파일이 사라졌습니다.crontab 등에 등록하여 여러 꼼수를 쓸 수도 있지만, "systemd"에 부팅 후, 한 번만 실행되는 서비스로 등록하는 것이 crontab 보다는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서비스 등록하기부팅 후, 한번만 실행될 스크립트를 작성합니다.sudo vi /usr/local/bin/run-once.sh부팅 후, 한 번만 실행될 스크립트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bin/bash# 실행하려는 명령들 작성# command ...# 실행 후 스크립트 처리 완료 표시# touch /tmp/run-once-completed# ..

Linux,Unix,BSD 2024.07.08

[linux] 연결된 링크의 속도 확인하는 방법

인터넷과 연결된 링크의 속도를 확인하는 방법들을 정리해 둡니다."ip" 명령현장치에 존재하는 모든 링크 및 어댑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니다. ("address" 옵션 이용)nvidia@nvidia-Z790-AORUS-ELITE:~$ ip a1: lo: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group default qlen 1000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inet 127.0.0.1/8 scope host lo valid_lft forever preferred_lft forever inet6 ::1/128 scope host noprefixroute valid_l..

Linux,Unix,BSD 2024.06.13

[linux] USB memory 다루기

개요우분투 시스템에서 USB memory를 장착하였을 때부터, 안전하게 분리하는 방법까지 간단하게 정리하여 둡니다.USB memory 연결일반적으로 윈도우 시스템에 USB memory를 새로 연결하면 자동으로 마운트되어 디스크 드라이브까지 할당되어 바로 USB memory 상의 파일을 접근할 수 있습니다.우분투 데스크톱에서도 유사하게 파일 관리자를 통하여 바로 접근이 가능합니다.하지만, 데스크톱을 이용하지 않는 서버 환경이라면, 자동으로 마운트가 되지 않습니다.우선 연결된 USB memory를 확인하기 위하여 "lsblk" 명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lsblksdd 8:48 1 7.3G 0 disk├─sdd1 8:49 1 256M 0 part└─sdd2 8:50 ..

Linux,Unix,BSD 2024.06.0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