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Unix,BSD 162

RPi - 라즈베리파이에서 파티션 자동 확장하기

개요 먼저 라즈비안 OS를 16GB SD 카드에서 만들어서 백업의 이미지로 만들어 둔 것을 32GB USB 메모리에 그대로 적용했을 때 USB 메모리의 나머지 16GB는 사용하지 않는 공간으로 그대로 남아 낭비됩니다. 라즈비안 OS를 설치했을 때, 최초 부팅시 파티션을 자동으로 확장하는 절차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번에 그 방법을 정리해 둡니다. 파티션 자동 확장 16GB SD 카드에서 만든 백업 이미지를 이용하여 그대로 복원해서 만들어 둔 32GB USB 메모리에 대하여 파티션 자동 확장 작업전 32GB USB 메모리의 용량 상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루트 파티션의 15G로 절반의 용량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pi@raspberrypi:~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

[shell] 명령어 유무 확인하기(command, which)

개요 특정 명령어가 존재하는지(설치되었는지) 확인할 때, "which"를 이용하거나, "command" 명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which"와 "command" 명령간의 차이점을 살펴하고, 어떤 식으로 사용하면 될지 알아 보겠습니다. which 명령 명령의 위치를 찾을 때 흔히 "which" 명령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which" 명령에 대한 man 설명서 입니다. WHICH(1) General Commands Manual WHICH(1) NAME which - locate a command SYNOPSIS which [-a] filename ... DESCRIPTION which returns the pathnames of the files (or links) which would be..

Linux,Unix,BSD 2022.06.09

[라즈베리파이] 화면 꺼짐 설정 (Configuring Screen Blanking)

예전에는 10분정도 후에 라즈베리파이의 화면이 자동으로 화면이 꺼졌는데, 라즈베리 파이 4에 새로 설치한 곳에서는 화면이 꺼지지 않고 계속 켜져 있었습니다. 그래서 라즈베리파이의 화면을 자동으로 꺼지게 설정하는 화면보호기에 대해서 정리해 둡니다. 콘솔(Console)에서의 설정 라즈베리파이에서는 10분동안 입력 동작이 없을 경우 콘솔 화면을 끄는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현재 설정된 화면 꺼짐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i@raspberrypi:~ $ cat /sys/module/kernel/parameters/consoleblank 0 "0" 값은 화면 꺼짐이 비활성화 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 값은 "/boot/cmdline.txt" 파일에서 설정합니다. "consoleblank"..

Linux,Unix,BSD 2022.06.08

라즈베리파이에서 "Emergency Mode" 진입 문제

문제점 및 증상 라즈베리파이로 작업하던 중에, 프로그램에 문제가 발생되면 자체적으로 재부팅(reboot)하도록 처리해 놓은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다음 화면과 같이 때때로 "Emergency Mode" 진입하여 재부팅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문제를 발견하였습니다. 엔터키를 입력하면, 다시 정상적으로 부팅은 되지만 때때로 "Emergency Mode"로 진입하면서 상시 운영되어야 하는 프로그램이 중단되는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였습니다. 해결 방법 정확한 근본적인 대책을 찾을 수 없었고, 대부분이 "/etc/fstab" 파일의 각 파티션에 "nofail" 옵션을 추가하는 것을 추천하여, 해당 옵션을 적용하여 장기적인 시험을 진행 중입니다. proc /proc proc defaults 0 0..

Linux,Unix,BSD 2022.05.31

[linux] 특정 명령을 root 권한으로 실행하는 방법

개요특정 명령을 비밀번호 없이 루트(root) 권한으로 실행하는 방법들을 알아 보겠습니다.시험환경SBC : Rock5BOS : Armbian 23.11.1 Jammy / Linux 5.10.160-legacy-rk35xxchmod 이용 방법가장 손쉬운 방법으로 chmod 명령으로 해당 명령 자체에 "root"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입니다.$ sudo chmod 4755 {command}$ sudo chmod u+s {command}위와 같이 명령에 "root" 권한을 부여한 뒤에, 정보를 확인해 보면, 첫 부분에 "-rws"와 같이 "x" 부분에 "s"라고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가 부여된 명령은 "root" 권한이 부여되어 실행됩니다.$ sudo chmod 4755 t.sh$ sudo c..

Linux,Unix,BSD 2022.05.14

[라즈베리파이] RTC 모듈(DS3231) 설정하기

개요 인터넷이 연결된 상태에서 내부 시계를 맞춘 후에 전원을 끄고 1시간이 지난 후,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전원을 켜면 라즈베리파이의 시각은 1시간 전 그대로의 시각을 표시합니다. 왜냐하면 라즈베리파이에는 RTC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위와 같이 내부 시각이 맞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인터넷 망이 연결된 상태에서는 외부 time 서버에서 현재 시각 정보를 가져와 갱신하기 때문에 시간이 맞지 않는 문제는 없습니다. 본 문서에서는 라즈베리파이에 외부 RTC 모듈(DS3231)을 연결하고, 실제로 RTC와 시각 정보를 동기화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RTC 모듈(DS3231)의 연결 RTC 모듈(DS3231)은 I2C 방식으로 통신을 하게..

Linux,Unix,BSD 2022.05.01

[라즈베리파이] OpenVino 설치하기 (NCS2)

OpenVino 설치 현재 Raspbian Buster(Linux 10), 32-bit 버전을 지원하는 빌드된 가장 최신 버전 확인 https://storage.openvinotoolkit.org/repositories/openvino/packages/2021.4.2/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 합니다. $ cd /tmp $ wget https://storage.openvinotoolkit.org/repositories/openvino/packages/2021.4.2/l_openvino_toolkit_runtime_raspbian_p_2021.4.752.tgz 다음과 같이 OpenVino를 설치합니다. $ sudo mkdir -p /opt/intel ; cd /opt/intel $ sudo tar -xf /t..

Linux,Unix,BSD 2022.04.02

FreeDOS를 이용한 BIOS 업그레이드

개요 윈도우가 설치된 장비라면,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BIOS 업그레이드를 진행해 주는 별도의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회사에 있던 조금 오래된 Lenovo ThinkStation P500 워크스테이션에 우분투가 설치되어 있어고, 그 장비의 BIOS를 업그레이드한 과정을 정리해 둡니다. 삽질 장비의 BIOS 버전은 아래와 같았습니다. 구매한지 5년이 넘은 장비라, BIOS도 2015년도 것이었습니다. Lenovo 홈페이지에서 ThinkStation P500 워크스테이션에 관련된 페이지를 찾아 들어가서 최신 BIOS를 찾는 과정부터 난해하였습니다. 이미 지원이 종료된 제품이라서 Download에서 문서 말고는 다운로드 할 수가 없었습니다. 다행히 구글의 도움으로 최신 바이오스를..

Linux,Unix,BSD 2022.03.16

mdadm을 이용한 RAID-1 구성하기

회사 내부에 NAS 구성을 위하여 보드에 내장된 Intel RST RAID를 이용하여 HW RAID-1을 구성하려고 하였으나, 무엇때문인지 확인이 되지 않았지만 우분투 OS에서는 RAID-1 볼륨을 인식하지 못하였습니다. 두 개의 물리적 HDD를 하나의 RAID-1 볼륨으로 묶어 놓았는데, 우분투에서는 RAID 볼륨을 인식하 않고 각각의 HDD를 독립적으로 2개 인식하였습니다. 여러 가지 삽질을 하고 자료를 찾다 보니 굳이 HW RAID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고, 조금 더 확장성이 좋은 SW RAID로 구성하기로 하였고, 본 문서에서 그 과정을 정리하여 둡니다. 새로 추가한 HDD를 "fdisk" 명령으로 확인합니다. $ sudo fdisk -l Disk /dev/sda: 1.84 TiB..

Linux,Unix,BSD 2022.03.15

Ubuntu에서 패키지만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기

개요 인터넷을 이용할 수 없는 곳에 있는 장비의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기 위하여, "apt" 명령으로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은 후 인터넷이 안되는 곳의 장비에 복사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 보겠습니다. 패키지 다운로드하기 "apt" 명령을 이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다운로드만 받으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수행합니다. pi@raspberrypi:~/deb $ sudo apt reinstall --download-only -y ... 위 명령을 수행하면, "/var/cache/apt/archives" 폴더에 지정한 패키지가 다운로드 됩니다. 하지만 그전에 "apt" 명령을 이용하여 설치나 업그레이드를 했다면 서로 뒤섞여서 원하는 패키지만 찾기가 애매할 수 있습니다. 지정한 경로에 다운로드하려면 다음과..

Linux,Unix,BSD 2022.02.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