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19

[Jetson] DeepStream-6.2 Sample 구동 실패/성공

운용 환경 DeepStream-6.2 Sample 구동 실패한 환경에 대하여 정리해 둡니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ㅠ.ㅠ) Host PC 준비 OS: Ubuntu 22.04 Jetson 구동환경 Jetson : Orin NX 16GB OS : R35.2.1 Docker Tegra Linux 이미지 준비하기 : R35.4.1 / R35.2.1 다음은 현재 Tegra Linux 가장 최신 버전인 R35.4.1을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mkdir -p ~/work/L4T_r35.4.1 cd ~/work/L4T_r35.4.1 wget https://developer.nvidia.com/downloads/embedded/l4t/r35_release_v4.1/release/jetson_linux_r35.4.1_aa..

"플레인(Plane, 2023)"를 본 후에...

감상 누리꾼들의 평점이 낮은 데는 이유가 있었던 것입니다. 비행기가 불시착하는 긴박한 상황이 이어지는데, 이상하게도 긴박감이 전혀 느껴지지 않고 '어... 불시착하네? 와 그래도 잘 세웠구만...'라는 짧은 감탄?만 나오게 하였습니다. 아마도 영화를 보는 내내 무언가 얽개가 맞지 않고 개연성이 부족하다거나, 갑작스럽게 위기가 해소되는 등... 전반적으로 딱히 고구마가 있다고 느껴지지 않았는데도 이상하게 고구마를 마구 먹은듯한 느낌의 영화였습니다. 비행기가 불시착하는 재난 상황에 불법적인 갱단이 인질극을 벌이려는 액션 모두를 잡으려는 시도는 좋았으나, 둘 다 놓쳐버린 느낌입니다. 역시나 마지막 총격씬에서는 아군은 총알이 무제한에 쏘면 백발백중하나, 갱단들은 총을 허공에다만 쏴대는 설정들이... 중간에 갱단..

취미/영화보기 2023.09.25

[python] sqlalchemy (mysql.connector.errors.DatabaseError) 1273 (HY000): Unknown collation: 'utf8mb4_0900_ai_ci'

문제점 및 증상 MariaDB와 연동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 sqlalchemy (mysql.connector.errors.DatabaseError) 1273 (HY000): Unknown collation: 'utf8mb4_0900_ai_ci' 시험 환경 MariaDB : 10.6.4 Database charset : utf8mb4 TABLE COLLATE : utf8mb4_unicode_ci 해결 방안 해결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다음과 같이 DB 연결 문자열 마지막에 "?charset=utf8mb4&collation=utf8mb4_general_ci"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db_url = f"mysql+mysqlconnector://{conf.get(JKEY_USERN..

[Python] 발생한 Exception의 클래스를 확인하는 방법은?

발생 상황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추가(insert)하는 작업에서 Exception이 발생하였습니다. Exception이 발생한 원인은 테이블에 유일키가 있었는데, 중복된 값을 추가하여 "IntegrityError" 오류가 발생한 것이었습니다. 정확하게 IntegrityError만 except 처리를 하면 되겠지만, "except Exception as e:" 구문 하나로 해결할 수 없나 하는 생각에 그럼 발생한 Exception의 클래스를 확인하여 "IntegrityError" 오류만 별도 처리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관련 자료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Exception의 클래스 이름 확인 방법 참고자료를 보면, Exception의 클래스 이름 확인 방법은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할 수 있..

마녀 [강풀]

마녀 [강풀] 느낀점 처음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근거없는 마녀 사냥을 통해 이루어지는 왕따 등 소외에 관한 이야기였나 싶었는데 계속 보니 진짜 마녀?와 그 마녀를 사랑하는 사람의 짐념으로 서로 사랑하게 된다는 순정만화 같이 이야기가 반전되는 묘미가 아주 컸습니다. 정말 두 시간 가까운 시간이 언제 흘렀는지 모르게 만드는 마법같은 이야기였습니다. 이떻게 이런 상상을 했는지... 대단하다는 말 밖에 할 수가 없네요. 주인공 미정이와 동진이의 친구인 중혁에게 있는 초능력? 혹은 저주 때문에 친구들을 피하게 되고, 알게 모르게 사람들이 그들을 떠나면서 얼마나 외롭고 힘들게 살아왔을까? 그 상황이 감히 상상이 되지 않았습니다. 그런 미신같은 상황을 그냥 넘기지 않고 통계?를 통하여 파헤쳐 나가는 동진의 짐념도 참 ..

취미 2023.09.16

안아주는 말들 [사이토 시게타 저/마루 옮김]

느낀점 어떻게 보면 머리로는 이미 다 알고 있는 내용인 것도 같았지만, 책으로 읽어 보니 힘들어 하던 마음을 어루만져 주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마음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는 구절도 많았지만, 작가의 삶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부분도 공감이 되어서 좋았습니다. 특히 성공을 하기 위해서 실패는 필수라는 것과, 화를 다스리기 위해서 그 때의 감정을 날것 그대로 적어두는 지혜는 저도 크게 공감받고 실천에 옮기려고 합니다. 가장 인상 깊었었던 구절을 옮겨두는 것으로 느낀점을 마무리합니다. 흔히 사람은 '상대의 마음을 이해한다'고 여기지만, 사실은 제대로 알지 못해 타인을 두려워한다. 그러니까 대부분의 사람은 '저 사람은 이렇게 생각하겠지' 하며 멋대로 예측해서, 아는 셈 치고 두려움이나 불안을 덜고 있는 것이다. 상..

취미/책읽기 2023.09.15

[docker] GitLab ce 설치 및 최초 구동하기

개요 형사관리를 위하여 "GitLab ce"를 도커를 이용하여 구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서버 현황 확인 먼저, "GitLab ce"를 설치하고 운영할 서버 현황을 확인합니다. IP : 192.168.0.10 server:~#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tmpfs 1.6G 1.6M 1.6G 1% /run /dev/md1 460G 14G 446G 3% / tmpfs 7.8G 0 7.8G 0% /dev/shm tmpfs 5.0M 0 5.0M 0% /run/lock /dev/md0 988M 273M 649M 30% /boot /dev/sdb1 1.1G 6.1M 1.1G 1% /boot/efi tmpfs 1.6G 4.0K 1.6G 1% ..

Docker 2023.09.14

[docker] 레드마인 운영 시, production.log 파일 생성 문제

개요 레드마인 (https://www.redmine.org/)을 도커를 이용하여 운용하고 있는데, 로그 파일이 생성되지 않아 로그를 확인하기 위해서 "docker logs" 명령을 활용해야만 했었습니다. 하지만 도커의 logs를 이용하기에는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많아서, 레드마인의 로그 파일을 별도로 생성하는 방법을 정리해 둡니다. 레드마인 컨테이너 구동 레드마인을 구동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스크립트를 작성하여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bin/bash # redmine 구동 스크립트 # server : www1 # date : 2021-08-21 # author : hbesthee@naver.com CONTAINER_NAME=redmine LOG_REDMINE=/home/logs/redmin..

Docker 2023.09.10

[python-VISA] 잡음지수 분석기의 측정값 읽어오기

개요 잡음지수 분석기(Noise Figure Analyzer)에서 측정 포인트값을 읽어오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이용한 잡음지수 분석기(Noise Figure Analyzer)는 Agilent N8975A 모델입니다. 측정 포인트값 읽어오기 다음은 측정 포인트 정보들을 읽어오는 예제입니다. from pyvisa import ResourceManager from time import sleep _GPIB = 8 _port = 0 rm = ResourceManager(r'C:\WINDOWS\system32\visa64.dll') client = rm.open_resource(f'GPIB{_port}::{_GPIB}::INSTR') print (client.query('*IDN?')) point_co..

[python] 각종 옵션/설정 정보를 JSON으로 다루기

개요 윈도우 환경에서 작업을 할 적에는 *.ini 형식의 파일로 옵션/설정 정보를 관리하였고, 관련 API 등이 편하게 되어 있어서 이용에 전혀 불편함이 없었는데, 파이썬의 configParse를 이용하려니 만족스럽지가 못하였습니다. 그러던 차에 JSON 형식의 파일이 파이썬의 dict 형과 1:1 대응이 된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다음과 같이 옵션/설정 정보를 관리하였더니 INI 형식보다 더 유연하고 사용하기가 좋았습니다. 본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각종 옵션/설정 정보를 JSON으로 다루는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키 이름 상수 정의하기 자바스크립트에서 JSON 데이터를 다루거나, 파이썬의 dict 형 자료를 이용할 때, 꼭 문제가 되는 것이 키 이름에서 오타가 나서 알 수 없는 곳에서 헤맸던 경험이 종종..

728x90